
기술평가시스템
당신의 생각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기술가치평가란?
- 해당기술이 시장에서 실현 가능한 경제적 효과를 계수화하는 작업. 기술 자체가 갖고 있는 공정한 시장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능한 한 중립적 거래(Arm's Length Transaction) 상황에서 기술의 금전적 가치를 측정하는 것.
기술가치평가방법
- 평가대상인 기술의 유형과 평가자에 따라 다양한 평가방법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주로 활용
- 1수익접근법(Income Approach)
- 2시장접근법(Market Approach)
- 3비용접근법(Cost Approach)
- 미래의 수익을 추정하여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는 수익접근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 기술보증기금의 기술가치평가모형도 수익접근법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적용.
기술가치평가체계
- 예비 평가 (Screening)
- 목적
- 사업화 가능성을 체크하기 위한 약식평가 (평가지표 이용)
- 사업타당성 평가 (Assessment) 「정성적 평가」
- 목적
- 기술의 사업추진 타당성을 위한 심층평가
- 기술이 적용될 신규사업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
- 기술군 특성
- 권리성 평가
- 시장성 평가
- 사업성 평가
- 가치 평가 (Valuation) 「정량적 평가」
- 목적
- 사업타당성 평가를 전제로 기술의 사업가치 및 기술자산의 가치를 측정
- 1. 기술의 경제적 수명 추정
- 현금흐름 산정기간 추정
-
2. 매출액 추정
- 현금흐름 산정기간 내 기간별 매출액 추정
-
- 3.재무 분석
- 매출원가, 판관비용, 운전자본, 자본지출 등 추정
-
- 4.경제적 이익 흐름
- 현금흐름 또는 이익흐름 추정
-
- 5.할인율
- 사업위험분석(WACC, CAPM, 경험적 방법 등)
-
- 6.사업가치 (Business Value)
- 순현재가치(NPV) : 경제적 이익의 현재가치 합계
-
- 7.기술기여도 (Tech Factor)
- 사업가치 중 기술이 공헌한 비율 (경제적 이익의 배분)
-
- 8.기술가치 (Tech Value)
- 사업가치 X 기술기여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