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대상인 데이터의 특성, 품질, 유형 등과 평가자에 따라 다양한 평가방법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주로 활용됩니다.
1. 시장접근법(Market Approach)
2. 수익접근법(Income Approach)
3. 비용접근법(Cost Approach)
데이터 가치평가 적용 모형 개요
사업주체가 있고, 원재료, 원유 등으로 표현되는 데이터가 기술(서비스)와 결합된 구체화된 사업의 경우에는 미래의 수익을 추정하여 데이터의 가치를 평가하는 수익접근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다만, 평가대상 데이터의 공인된 시장거래 사례가 있는 경우에는 시장접근법을 우선 적용할 수 있고, 사업주체가 없거나 사업이 구체화 되지 않은 경우에는 비용접근법을 통하여 데이터 가치평가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가치평가 적용 모형 요약
1. 시장접근법 : 배수법
(대상) 동일 또는 유사한 데이터의 거래 가격에 바탕을 두고, 평가대상 데이터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비교사례 및 가격이 존재하는 경우에 가능
(모형) 배수법으로 비교사례가격을 기준으로 데이터 크기, 품질, 사용자효용조정계수에 의하여 조정하여 가치금액을 결정
2. 수익접근법 : 증분수익모형
(대상) 평가대상 사업화에 있어 데이터 적용 전 후의 수익을 추정할 수 있는 경우
(모형) 평가대상 데이터의 활용 전(前)과 후(後)의 각 사업에 대한 경제적 수명, 현금흐름, 할인율 등의 추정하여 산출
3. 수익접근법 : 데이터 기여도법
(대상) 데이터 기반 사업화가 구체화되어 있어, 현금흐름 추정이 가능하고, 데이터 경제적 수명, 할인율 및 데이터 기여도의 추정이 가능한 경우
(모형) 데이터 기여도법은 데이터 우위 사업의 수익접근법과 기술우위 사업의 수익접근법으로 구분하여 산출
4. 비용접근법 : 조정재생산비용접근법
(대상) 평가 대상 데이터와 유사한 거래사례도 없고, 데이터 기반 사업도 구체화 되지 않은 경우
(모형) 데이터 가치 = 역사적 원가 집계 + 물가상승 금액 + 기회비용 – 진부화로 인한 가치감소 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