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중점지원 대상기업 상세내역

FacebookFacebook TwitterTwitter Naver BlogBlog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품목 안내
10대 산업 품목
1. 디지털 TV/방송 방송시스템, D-TV(Digital TV),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셋톱박스, 복합기기
2. 디스플레이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유기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3D(three Dimensional), 전자종이, 관련소재
3. 지능형 로봇 가정용 서비스 로봇, IT기반 서비스 로봇, 극한 작업용 로봇, 의료지원용 로봇
4. 미래형 자동차 지능형 자동차, 친환경 자동차
5.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메모리, SoC(System on a chip), 나노전자소자, 관련소재
6. 차세대 이동통신 4G (Forth Generation) 단말기 및 시스템, 텔레메틱스(Telematics)
7. 지능형 홈 네트워크 홈서버/홈게이트웨이, 홈 네트워킹, 지능형 정보가전,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8. 디지털콘텐츠/SW솔루션 디지털콘텐츠 제작·이용·유통시스템, 문화콘텐츠, 임베디드(Embedded) S/W, 지능형 종합물류시스템
9. 차세대 전지 2차전지, 연료전지, 관련소재
10. 바이오신약/장기 신약, 바이오장기, 바이오칩

미래성장유망산업(6T)

미래성장유망산업(6T) 품목 안내
그룹 업종 품목 산업분류
code
정보기술관련
(IT)
Information-
Technology
컴퓨터 및 주변기기 제조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키보드 등  
사무,계산 및 회계용기계제조 복사기, 금전등록기, 화폐분류기,  
절연선 및 케이블제조 광섬유케이블 등  
축전지제조 축전지, 일차전지, 이차전지 등  
반도체 및 기타전자부품제조 인쇄회로판, 전자축전기, 액정표시장치, 전자카드 등,  
통신기기 및 방송장비제조 유·무선통신기기, 네트워크장비, 통신단말기, 교환기기 등  
방송수신기 및
기타영상, 음향
기기 제조
셋톱박스, 위성방송수신기 등  
측정,시험,항해 및
기타정밀기기 제조
정보통신관련  
전자상거래    
무선통신업 인터넷통신망, 부가통신, 별정통신 운용 등  
정보처리 및
기타컴퓨터 운용관련
솔루션개발, 그룹웨어, 음성데이터통합, 콘텐츠개발, 게임소프트 웨어 등  
전기,전자,통신 및
정밀기기 전문수리
정보통신관련  
생명기술관련
(BT)
Bio -
Technology
생물의학 호르몬, 혈액관련제제, 항암제, 항생제, 성장인자류, 면역제, 신경전달물질, 백신, 진단시약, 유전자요법, 인공장기 등  
생물화학 생분해성고분자, 아미노산, 유기산, 기능성 다당류, 공업용효소, 향료, 색소, 계면활성제 범용화학물질, 생체재료  
생물환경 환경정화용 미생물제, 대기탈황, 탈취제, 응집제, 생물학적 환경오염처리  
바이오식품 저칼로리형 대체감미료, 기능성지질, 식품첨가물, 천연 식품소재, 기능성식품소재, 발효식품, 식품용 효소 등  
바이오에너지 연료용에탄올, 메탄발효, 이산화탄소고정화, 광합성, 바이오가스, 미생물침출 등  
생물농업 및 해양 인공종자 및 우량묘목, 동물백신 및 진단제, 미생물농약, 해양생물자원, 식물공장, 사료제, 형질전환 동식물 등  
생물공정 및 엔지니어링 발효공정, 동물세포배양, 식품세포배양, 생물반응기,
생물전환기술, 분리정제공정 등
 
생물학적검증 및
측정시스템
안전성 및 효능평가기술, 바이오센서, 바이오칩, 진단기술, 생체기능이용물질 전환기술, 측정기기 생산기술 등  
나노기술관련
(NT)
Nano -
Technology
나노소자 나노전자 소자, 나노정보저장, 가변파장광소자 등  
나노소재 나노분말소재, 광학용나노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 등  
나노의약 나노바이오 의약품  
나노공정기술 나노공정기술 서비스  
문화기술관련
(CT)
Culture -
Technology
출판,음반산업 서적출판, 신문·잡지, 인쇄 및 인쇄관련서비스, 기록매체복제, 음반출판  
녹음시설운영업 녹음시설 운영업  
게임산업 게임기제조 게임소프트웨어제작  
영화산업 일반영화 및 비디오제작, 만화영화, 방송 프로그램, 관련서비스, 영화배급업  
유선 및 위성방송업 프로그램공급업, 프로그램송출, 위성방송  
공연산업 공연시설운영, 녹음시설운영, 공연단체운영, 공연기획 등  
기타문화산업 유원지 및 테마파크 운영 전시 및 행사대행업  
환경기술 관련
(ET)
Environ
ment &
Energy -
Technology
환경용품제조 유기화합물 제조, 액체여과기 제조, 용기세척기 제조 등  
재활용품제조 석유정제품 재처리, 폐화합물질생산, 재생고무, 재생플라스틱, 폐유리 가공제품  
환경설비건설 폐기물처리 및 오염방지시설
건물 및 구축물해체공사
 
환경관련서비스 환경상담 및 엔지니어링
하수처리·폐기물처리 및 청소관련서비스
자연공원 및 유사시설운영업
 
항공우주기술
관련
(ST)
Space -
Technology
항공기부품 항공기, 우주선 및 부품제조  
항공기임대 항공기임대  
항공운송지원 서비스 공항시설운영 등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에 따른 기술집약산업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에 따른 기술집약산업 품목안내
업종 품 목
1. 기계공업 광학기기(카메라, 칼라·지능복사기, 현상기, 고분해능 현미경에 한한다)
고기능 프레스(400에스·피·엠이상의 것에 한한다) 및 절 삭공구(초경합금·다이아몬드·고속
도강·서미트·입방정질화붕소 공구에 한한다)
수치제어공작기계
플라스틱가공기계(자동제어장치부착 사출성형기 및 제어·관리시스템부착 압출기에 한한다)
동력발생장치(전자제어식·대체연료·경량화·신소재이용·불꽃점화식·저공해·압축착화식
엔진 및 연료분사장치에 한한다)
자동차 및 철도차량(고속전철·전동차 및 자기부상열차에 한한다)
산업용로보트(자유도가 3축이상인 것에 한한다)
건설중장비 유압부품
고성능 제트직기(500알·피·엠이상의 것에 한한다)
컴퓨터자수기(4색이상의 것에 한한다) 및 방사니플
반도체 제조장비 및 부품
정밀금형(반도체·자동차·항공기 또는 전자기기용의 것에 한한다)
고성능 옵셋인쇄기(공압식 또는 컴퓨터식의 것에 한한다)
유공압기기의 부품(펌프·모터·밸브·실린더에 한한다)
레이저 발생장치 및 응용기기
자동차부품(제동장치·현가장치·조향장치·동력전달장치, 자동제어·조절장치, 배기가스저감
장치, 주행안전·정보장치에 한한다)
냉동공조기기(흡수식·축열식·가변형 및 대체냉매형의 것에 한한다)
베어링(직선·로울링베어링 및 자동차용 특수베어링에 한한다)
원자력발전소용 핵증기 발생·제어장치, 가스터빈, 스팀터빈 및 발전기용 로터
플라즈마 코팅장치
2. 전자공업 가. 전자기기 통신기기(전자교환기, 광통신케이블 및 장치, 반송통신장치, 위성방송 및 통신송수신기에 한한다)
컴퓨터(64비트이상의 것에 한한다) 및 정밀주변기기
영상·음향·결상기기(디지털방식의 것과 아날로그방식중 프로젝션텔레비전, 평판텔레비전 및
하이-8비디오 카메라에 한한다)
전자식 의료기기
자동제어장치
전자식 계측장비
나. 전자부품 반도체소자(집적회로·개별소자·화합물반도체에 한한다)
전자관(25인치미만 텔레비전용 브라운관을 제외한다) 및 핵심부품(유리, 편향요크, 새도우마스크
및 전자총에 한한다)과 평판디스플레이 및 전용부품
광섬유
광 및 자기기록매체(디지털방식 및 디스크형의 것에 한한다)
정밀모터
인쇄회로기판
반도체재료
자기헤드
압전필터 및 착화소자
센서
칩부품(표면실장용의 것에 한한다)
콘넥터
3. 전기공업 전력전자기기(인버터 또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한한다)
송변전설비(345킬로볼트이상의 변압기·리액터 및 차단기에 한한다)
열처리용기기(직류아크식·신소재가공용 전기로 및 레이저·플라즈마·초음파·고주파·인버터
방식의 용접기에 한한다)
초전도 응용기기(발전기·변압기 및 케이블에 한한다)
고성능전지(전기자동차·전자기기용 니켈합금, 리튬·나트륨합금 전지에 한한다)
4. 항공공업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에 의한 항공공업
5. 방위산업   방위산업에관한특별조치법에 의한 방위산업
6. 정밀화학   의약 및 농약(원제 및 중간체에 한한다)
염료·안료 및 기능성 색소
전자공업용 약품 및 사진재료
조합향료
계면활성제
첨가제
촉매
연구·진단용 시약
정밀화학원제(염료·안료·향료·계면활성제·첨가제·접착제의 원제 및 중간체에 한한다)
접착제(혐기성, 아미드·아크릴계, 폴리아미드계, 전도성·유연성 순간 접착제에 한한다)
7. 신소재산업 가. 신금속재료제조업 구조재료(초내열합금, 내식성·내마모성·고강도·고절삭성·경량합금재료 및 금속분말에
한한다)
기능재료(형상기억·비정질합금에 한한다)
자성재료(하이-비규소강판·초고투자율재료·초고영구자석 재료 및 희토류자석용 재료에
한한다)
도전재료(초전도재료·무산소동판·전해동박·크림솔더·저항재·흑연전극봉 및 알루미늄박에
한한다)
  나. 정밀요업
(화인세라믹스)
제조업
전자전기용 세라믹스
기계구조용 세라믹스
고온내화용 세라믹스
생화학용 세라믹스
광학용 세라믹스
  다. 고기능성 고분자 재료 제조업 특수기능성 고분자
전기특성 고분자
고강도 섬유(탄소섬유·아라미드섬유 또는 캐블라섬유에 한한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의료용 고분자
고분자 분리막
다성분계 고분자소재
고분자원료
8. 생물산업   의약품
환경보전 제품
식품재료
화학물질
9. 정보처리 및
컴퓨터운용관련업
또는 부가통신업
  컴퓨터 설비자문업
소프트웨어의 자문·개발 및 공급업
자료처리업
데이타베이스업
부가통신업
10.석유화학 및
석유정제업
  고순도 용제
중질유 분해
탈황
11.엔지니어링 사업   산업시스템관련 엔지니어링서비스
환경관련 엔지니어링서비스
토목엔지니어링서비스
기계관련 엔지니어링서비스
전기·전자 및 통신관련 엔지니어링서비스
비파괴검사업

'혁신성장 공동기준'에 따른 혁신성장산업

'혁신성장 공동기준'에 따른 혁신성장산업
대분류 중분류 세세분류 개념 대표품목
녹색기술산업(6)
신재생 에너지
태양전지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한전지 산업 결정질 실리콘, 실리콘 박막, CIGS 박막,염료감응, 유기 태양전지
연료전지 연료중의 수소와 공기중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고효율, 친환경 미래 발전시스템 산업 건물용PEMFC, 분산발전용MCFC, 건물용/분산발전용SOFC, IGFC
해양바이오 해조류, 해양미세조류 등으로부터 환경친화적인 바이오 연료를 제조하는 산업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 바이오가스, BtL(Biomass to Liquid)
해양에너지 해양의 조력, 조류, 파력 및 해수온도차에너지를 전기·열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 및 설치구조물을 제조하는 산업
  • 조력발전수차, 발전기, 브레이크시스템, 전력 변환장치, 변압기, 수문, 방조제, 통선갑문
  • 조류발전 수차, 발전기, 브레이크시스템, 전력 변환장치, 변압기, 지지구조물
  • 파력발전 파력변환 운동부유체, 유압장치, 터빈, 전력제어기, 발전기, 변압기
  • 해수온도차해수 취·배수관, 냉·난방 장치, 열교환기, 온도차발전장치, 전력변환장치, 변압기
폐자원
에너지
가연성폐기물, 음식물쓰레기 및 음폐수, 하수슬러지, 가축분뇨 등으로부터 친환경적인 연료를 생산하는 산업 고분자폐자원으로부터 석유대체연료 생산, 가연성폐자원으로부터 고부가가치 에너지 매체(energy carrier) 생산, 유기성폐자원으로부터 고부가가치 에너지매체 생산, 저탄소 녹색마을(마을단위 에너지 생산·소비 자립 시스템) 패키지화
농산바이오 매스에너지 비식량 섬유질계 바이오에너지작물, 유지작물, 농산부산물 등 바이오매스 자원 및 가축분뇨로부터 자원화기술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인 바이오 연료를 생산하는 산업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 신품종, 비식량 섬유질계 에너지작물, 바이오에너지 작물 형질전환체, 농산 바이오매스 유래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부탄올, 기타 중간산물, 고효율 당화효소, 가축분뇨 유래 바이오가스, 고형연료, 저탄소 녹색마을(마을단위 에너지 생산·소비 자립 시스템) 패키지화

* 바이오연료 생산공정 플랜트, 고효율 발효공정 플랜트, 가축분뇨 연료 생산용 플랜트,
산림바이오 매스자원화 폐목재, 톱밥, 수피, 입목 등 임산물을 톱밥으로 분쇄 및 압축하여 친환경적인 연료를 생산하는 산업 목재폐기물·톱밥 등 산림부산물을 분쇄, 건조, 열성형과정을 거쳐 목재펠릿으로 제조하여 농산촌의 친환경에너지 대체연료로 보급하고, 동 펠릿을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보일러 등 제조시설
청정석탄
에너지
저급탄 원료의 무공해 가스화 기술로 생산된 합성가스를 CO2저감 공정을 통해 청정액화연료(경유 등), 청정가스, 메탄올, Naphtha등 다양한 화학연료로 제조하는 산업 저등급탄의 고품위화, 친환경 가스화, 합성가스 정제, 합성가스 활용
탄소
저감
에너지
이산화탄소포집· 저장(CCS) 기후변화협약 대비 지구 온난화 대응기술로서 이산화탄소 포집, 수송, 저장과 포집된 이산화탄소 재자원화를 포함하는 산업 연소배가스 CO2 분리플랜트, 석탄가스화 CO2 분리플랜트, 순산소연소 CO2 분리플랜트, CO2 수송선, CO2 저장 플랜트, CO2 이용 유용물질 생산 플랜트
원전플랜트 상용원전의 일부 미자립 기술 국산화 및 독자적 해외진출이 가능한 대용량 수출노형 개발 개량형 OPR1000/APR1400, 신형원전(APR+), 스마트 원자로
고도
물처리
스마트 상수도 막여과 시스템 막여과(MembraneFiltration)란 막(Membrane)을여재로 하여 여과하는 정수처리 공정 역삼투막(RO; Reverse Osmosis Membrane),나노여과막(NF; Nanofiltration Membrane), 한외여과막(UF; Ultrafiltration Membrane), 정밀여과막(MF; Microfiltration Membrane),가압식 막여과 정수처리시스템, 침지식 막여과 정수처리시스템
스마트 상수도 수도기자재 수돗물 생산에 사용되는 자재 및 제품 중유해성 물질의 용출(溶出)로부터 위생적으로 안전함을 확보할수 있는 수도용 자재 및제품을 생산하는 산업 펌프류, 밸브류, 파이프(철계열 및 비철계열)류, 유량계류
친환경 대체 용수확보를 위한 하폐수 처리수 재사용 하수, 폐수를 필요 수질로 처리하여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유지용수 등으로 재이용하는 기술 역삼투막(RO; Reverse Osmosis Membrane),나노여과막(NF; Nanofiltration Membrane), 한외여과막(UF; Ultrafiltration Membrane), 정밀여과막(MF; Microfiltration Membrane),MBR
먹는샘물 먹는샘물 산업이란 샘물을 먹기에 적합하도록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물 산업

* ‘샘물’이란 암반대수층(岩盤帶水層) 안의 지하수 또는 용천수 등 수질의 안전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자연상태의 깨끗한 물을 먹는 용도로 사용할 원수(原水)
먹는샘물
해양심층수 청정 해수자원인 해양심층수를 취수 및 탈염 등의 과정을 거쳐 먹는물, 음료, 주류, 식품, 농수산물, 그리고 에너지 등을 활용하는 친환경 미래 산업 먹는 해양심층수,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식품(소금, 두부, 김치, 제과 등), 해양심층수로 제배된 농수산물, 해양심층수를 원료로 한 화장품, 기능성음료, 주류, 해수냉난방시스템, 온도차발전시스템
지속가능 물환경을 위한 수생태계 복원
  • 고도성장시기의 경제발전 위주의 국토개발로 인해 훼손된 수생태계의 건강성을 회복시키고 보전시키기위한 실용화 상용화 위주의 기술개발
  • 우리나라 및 전 세계의 이상기후 영향에의한 생태계 변화에 적응하여 지속가능한 수생태 관리를 통해 쾌적하고 안전한 21세기 물 환경을 구축
수중부유식 어류 산란장,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어족보호용 지하산란장치, 굼치형 습지, 둠벙형 습지, 댐용 어도, 생물 이동통로, 단위서식처, 보 및 낙차공, 고수부지 조성기술, 하안·하상 조성기술, 자연형 하상공법(여울 및 소 조성 공법), 하도육역화 관리기술(물골 및 수제공법), 일체형 하천 호안블럭, 섬유혼합다공성 Soil 블록, 하안 침식방지형 방틀, 생태유지용수 저장조, 식생매트, 수질정화 시설, 하상여과, 토양여과, 살조물질, 합류식우수관 월류수 처리장치, 분리식우수관 월류수 처리장치, 농촌지역 토양유실방지 및 유사저감 기술(장치), LID 장치, 탁수차단 기술(장치), 여과필터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수질정화용 하천협잡물 제거장치, 수처리시설의 전처리장치, 고도 수처리 기술, 하수 재이용 기술, 생태복원용수확보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정수역 수질정화시설, 빗물차집 및 저류탱크 제품, 보도/가로수 등에 적용 가능한 침투/저류 시스템, 조경수림 조성, 수변녹지 및 생태벨트 조성 설계 및 시공기술, 식재기반 개량재, 수목이식용 비료, 수변녹지용 포트수목, 제방녹화용 식물매트, 야생동물이동 유도휀스, 야생동물 이동통로, 물이끼류, 습지식물류, 습지토양, 무기토양, 이탄습지 조성, 수질 및 생태관련 계측기, VOC측정장치, 중금속측정장치, 조류독소측정장치, 수생태 모니터링용 DNA-chip (위해성 미생물용 및 조류예보제 대체용), 온라인 실시간 독성 모니터링 장치
LED
응용
  에피·칩·패키징 등 반도체 공정산업과 어플리케이션(조명) 산업
  • Eco LED 고효율 RGB LED, 고방열 고집적 패키지, 대용량 LED 양산장비
  • LED 스마트 모듈 자동차/선박, 의료/환경, 바이오/생태조절용 모듈/시스템
  • LED 감성/ 웰빙 조명 백색 LED 웰빙조명기기, 풀칼라 LED 감성조명기기, 지능형 LED 도로/도시조명기기
그린
수송
시스템
그린카 기존 내연기관 대비 효율이 높고 연비가 좋으며, 배출가스나 CO2 배출량이 적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산업 하이브리드자동차, 클린디젤자동차, 그린카 공통핵심부품
선박·해양 시스템 안전하고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신개념 선박·해양 시스템과 해양레저선박/장비를 비롯한 유망 조선산업 미래형 친환경 선박, Extreme Ocean Plant, 레저보트  
첨단철도 첨단철도차량산업(Electric & Machinery)이란 첨단 기술을 활용한 철도차량, 전차선, 신호, 통신 등을 포괄한 개념 차세대 고속철도, 무가선 하이브리드 저상트램,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첨단 그린 도시 첨단 그린 도시 U-City S/W U-City S/W 산업은 첨단그린도시의 관리운영과 공공 및 민간부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과 관련 기술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통합플랫폼과 도시특성 및 시장특성에 따른 개별 서비스시스템S/W로 구분함 U-City통합플랫폼S/W,
U-도시시설물관리시스템S/W,
U-도시교통서비스시스템S/W,
U-도시안전(방범,방재)서비스시스템S/W,
U-도시물순환관리시스템S/W,
U-도시탄소·에너지관리시스템S/W,
U-도시환경관리시스템S/W,
U-도시물류시스템S/W,
U-도시행정지원(원격근무포함)시스템S/W, U-City통합미들웨어,
U-City건설공정관리S/W 등
U-City IT H/W U-City기반시설건설에 필요한 각종 IT장비 및 부품과 이에 포함된 시스템S/W를 제공하거나 기술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U-City통합단말기, 미생물연료전지기반 BOD센서, U-City 코어게이트웨이, U-City 무선 AP, U-City 센서네트워크 AP 등  
U-City IT
융합 H/W
U-City기반시설건설에 필요한 지능형 건축자재, 지능형 토목자재(모듈)과 이에 포함된 시스템S/W를 제공하거나 기술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지능형통풍방음벽, Water Curtain 방음벽, 지능형 벽체 모듈, 지능형 가로 바닥 모듈 등, 지능형 가로등, 지능형신호등, 미디어폴 등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교통수단과 교통시설에 첨단기술과 교통정보를 융합하여 교통운영·관리를 과학화·자동화하고, 효율성·안전성을 극대화하는 미래지향적 신개념 교통체계 실시간 교통정보 시스템 및 교통정보 제공단말기, 버스정보 시스템, Hi-Pass 등 전자요금지불 시스템 및 단말기, Smart-Highway 시스템 및 단말기, 교통연계 및 환승시스템 및 단말기, 차세대 위성항행 시스템  
GIS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저장·가공·분석·표현할 수 있도록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및 인적자원의 결합체 실시간 능동형 국토공간 시스템, 지능형 도시시설물 관리 시스템, 차세대 공간정보 융합시스템  
그린홈 다양한 친환경ㆍ에너지절감 요소기술을 적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지구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한 저에너지·친환경 주택을 건설·공급하는 산업 외부환경 조절 시스템, 고효율 단열 시스템, 친환경 건축 재료, 고효율 설비 시스템, 건물통합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첨단융합산업(6) 방송
통신
융합
산업
차세대융합네트워크 실감 IPTV 등 신개념 융합서비스를 위한 융합 네트워크 인프라 및 플랫폼, 광대역 네트워크 서비스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 포괄 융합 네트워킹 시스템, 융합 제어 플랫폼, 그린 저전력 지능형 액세스 시스템, 그린 광대역 초고속 전송 시스템, 융합 정보보호 시스템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 서비스 플랫폼, 휴대용 멀티미디어 융합단말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고객에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산업 3GPP LTE시스템, WiBro Evolution시스템, 초고속 근거리 무선통신시스템, 융복합 무선통신 단말
방송통신 미디어 DTV, DMB, IPTV, 실감미디어 등의 차세대 미디어 서비스 및 관련 장비 (3D입체영상 및 음향, 초고화질 등으로 사실감과 현장감을 증가시킨 차세대 방송 및 유무선/모바일 휴대 기반의 개인 참여형 고품질 IPTV 서비스 등을 포함)
  • 실감DTV방송: 3DTV, UHDTV, 차세대DMB, 실감DTV 콘텐츠 및 방송장비
  • 차세대 IPTV: IPTV 헤드엔드 시스템, 모바일 IPTV 전송시스템, IPTV 서비스 플랫폼, 지능형융복합 IPTV 단말
IT융합 시스템 IT융합 주력산업에 IT를 융합·접목하여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하고, IT 신산업을 창출하는 분야
  • 지능형 그린자동차IT융합 그린전장 및 전동화 기술, IT융합 그린 주행 시스템 기술, IT 융합 차량 온실가스 감축사업 기반 기술, 차량 네트워킹 플랫폼, 차량 협력 주행 시스템, 자동 발렛 파킹
  • DIGITAL 선박선박내 통신인프라(SAN), 이동/위성통신 시스템(MoSIN), 지능형항해정보 시스템(INIS)
  • 웰페어 융합 플랫폼 헬스케어용 단말기를 위한 신호 처리 분석 시스템, 헬스케어용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시스템, 홈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지능형 건물 관리 시스템, 웨어러블 시스템
RFID/USN RFID와 USN 기술을 접목하여 정보 유통의 혁신적 변화를 통하여 새로운 융합서비스를 창출하는 산업으로서, RFID/USN 기기, 서비스 및 응용에 관련된 가치사슬 상의 모든 player를 포함한 산업 개별물품 인식 RFID, 광역 USN 통신시스템, 지능형 RFID/USN 미들웨어, 지능형 에너지 절감용 USN 시스템, 사회기반시설 모니터링 USN 시스템
차세대
반도체
휴대폰, 컴퓨터, 자동차 등의 전장 시스템에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소자로 시스템의 고성능·고기능화, 경박단소 및 저전력화를 특징으로 하는 분야 정보통신반도체, 친환경 절전형 전력반도체, 저전력 센서 반도체, 차세대메모리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기의 정보를 사용자(End user)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해 주는 화면표시장치 대화면 AMOLED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투명디스플레이, OLED 조명
로봇
응용
  로봇 및 관련 부품·소재의 제조·유통, 로봇 SW 및 서비스 콘텐츠 산업 및 타 분야의 로봇화로 파생되는 산업
  • 라이프케어 로봇생활도우미로봇, 탑승형로봇, 근력증강로봇, 인지바이오로봇
  • 청정생산용 첨단제조 로봇시스템 팩토리로봇, 나노-바이오 생산로봇, 차세대 에너지 /정보소자 제조 로봇
  • 지속가능 사회안전로봇시스템 감시·경계 로봇시스템, 환경감시 로봇시스템, 재난방재 로봇시스템
  • 창의적 에듀테인먼트 로봇사용자 창조형 로봇 및 콘텐츠, 실감형 Sportainment 로봇, 교사도우미 로봇
  • 고부가 의료 서비스 로봇 정밀 관절 수술 로봇, 의료 보조 서비스 로봇, 무절개 수술 로봇 시스템
신소재· 나노
융합
초경량
마그네슘
소재
초경량 마그네슘 소재는 그린수송시스템의 필수 요소인 차체 경량화를 가능케 하는 핵심소재 고품위 마그네슘 원소재, 연속제조 마그네슘 중간재, 고기능 마그네슘 부품, 초경량 마그네슘 모듈
Ionic Liquid(IL)
소재
Ionic Liquid 소재는 고온안정성, 환경 친화성 등의 장점을 지녀 그린제품 및 그린공정을 구현하기 위한 차세대 핵심 융합소재 전해질/나노융합 소재, 바이오매스 전환소재, 그린공정 소재, 표면 마찰저감 소재
나노탄소
융합소재
나노탄소 융합소재는 나노기술 개발 전쟁에 불을 붙인 대표적 핵심 전략 나노소재로 에너지, 환경, 전자·정보, 우주항공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되어 국산화를 통한 소재 분야 국제 경쟁력을 확보 그래핀 소재, 초다공질 나노기공 탄소볼, 탄소 (흑연) 나노 섬유, 나노탄소 융합 복합소재
기능성
나노 필름
기능성 나노필름은 기존 필름에 나노기술을 융합하여 복합적 기능을 갖도록 만들어진 필름으로 Flexible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2차전지 등에 활용 전도성 나노필름, 광학용 나노필름, 열응용 나노필름, 에너지 변환 나노필름, 고강성/저마찰/초발수 나노필름
나노 융합 바이오머신 나노융합 바이오머신은 나노구조체 또는 나노부품으로 조립된 수십 ㎛ 크기의 시스템으로 초소형 감지기, 구동기 등에 적용 나노융합바이오 시스템
바이오
제약
(자원)
·
의료
기기
바이오
의약품
생명공학을 기반으로 생물체의 기능 및 정보를 활용한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항체 및 단백질 치료제, 줄기세포 치료제
바이오 자원· 신소재· 장기 생명공학을 기반으로 생물체의 기능 및 정보를 활용한 치료제 기능성작물, 실크소재 인공뼈, 동물용 항생제, 단백질 치료제 생산 형질전환 동물, 단백질 치료제, 이종장기 생산용 미니돼지, 이종 장기제품(췌도, 신장, 간 등)
바이오매스유래 바이오화학제품 바이오매스의 생물/화학적/물리적 전환에 의해 생산된 바이오 제품 바이오유래 플랫폼 화학제품, 바이오 섬유/플라스틱, 기능성 바이오 화학소재
메디· 바이오 진단시스템 BINT 융합기술로 조기 예진, 진단 등을 수행하는 시스템 질량분석기반 초고속 디지털 분자 진단 시스템, 소형/의료용 질량분석기반 진단기기, 신기술 융합형 분자진단 시스템
첨단의료 영상 진단기기 의학적으로 유용한 모든 생체정보를 비 침습적인 방법으로 측정/영상화 하는 조기진단/치료분야의 최첨단 핵심기술 모노크로메틱 x-선 기기, 멀티에너지 저선량 영상센싱기기, 3차원 초음파 영상진단기기, 방사선 의약품 자동합성장치
고령친화 의료기기 및 제품 노인성 질환 극복 및 고령화 인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기개발 및 제품 개발 삶의 질 향상 고령친화 의료기기, 노인성 질환 극복 의료기기, 고령친화 이동/생활지원 기기 및 시스템, 욕창방지 bed
고부가
식품
산업
  고부가 식품이란 BT·IT·NT 등의 첨단기술 및 문화·관광 등 타 분야와 접목되어 내재가치를 증폭시킬 수 있는 식품을 일컬으며, 최근 식품안전 및 건강·웰빙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와 부합하는 새로운 식품을 의미. 기존 전통적 식품개념에서 탈피한 신개념 식품으로 고기능성, 친환경 안전, 특수목적(우주식품, 레저식품 등), 천연소재(화학합성물 무첨가), 개인맞춤형식품 등이 해당됨
  • 기능성식품 개인맞춤형식품, 천연첨가물, 대체식품소재, 특수목적식품 등
  • 친환경 안심식품 유기식품, 식품안전인자 검지시스템, 식품위해인자 저감시스템 등
  • 웰빙 전통식품 저염화 전통발효식품, 명품 천일염, 건강기능강화 전통식품 등
  • 유비쿼터스 식품시스템 유비쿼터스 식품품질센 서, 지능형식품 저장·포장, 식품유통 환경조절시스템 등
고부가 가치
서비스 산업(5)
글로벌 헬스
케어
  글로벌 헬스케어 부문은
  1. 1외국인 환자를 유치하여 의료서비스 제공을 통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외국인 환자 유치업,
  2. 2해외에 병원건설과 운영에 대한 타당성 조사, 재원조달, 건축과 감리, 운영 등 병원 건립과 운영에 대한 일체의 서비스를 Turn Key Base로 제공하는 해외병원 신설·운영 컨설팅업 및
  3. 3언제, 어디서나, 맞춤형 형태의 접근을 가능하도록 하는 소비자 중심의 u-Health로 구성된 산업.
  • 의료기관의 외국인 환자 대상 진단·치료·예방 서비스, 외국인 환자 유치업체(Agency 등)의 유치 서비스, 외국인 환자 전담서비스 인력(코디네이터 등) 양성 서비스.
  • 의료기관 및 컨설팅 업체의 해외병원 시설·운영 전반에 관한 자문서비스.
  • u-Health 장비(기기생체신호 계측기기, 바이오 센서, 행동 모니터링 기기, 의료용 로봇, 네트워킹 기기, IPTV, 데이터 저장 및 기록기기 등), u-Health 서비스(원격자문, 원격판독, 원격진료, 원격상담, 원격모니터링, 원격재활, 질환관리, 생활습관패턴관리, 방문간호원격지원, 원격복약관리, 원격정신건강관리, 원격응급의료, 예측맞춤형의료, 출산육아관리 등)
글로벌 교육
서비스
 
  • 쌍방향으로 의사전달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온라인 및 전파방송을 통해 교육, 훈련 및 학습을 제공하는 서비스 업무와 이를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를 구축 제공하는 솔루션 사업, 상호작용의 의도를 가지고 교수설계된 교육컨텐츠 제공과 시스템 및 교육 컨설팅을 수행하는 산업
  • u-러닝 관련 기술, 콘텐츠, 서비스 등 한국의 u-러닝 표준모델 세계화 실현 및 산업체, 전문 인력 양성 및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한 서비스 산업
LMS, KMS, ERP등 종합적인 지식관리 시스템, 디지털교과서, 전자칠판, Mobile 컨텐츠 저작도구 및 활용 컨텐츠, 지능형 센서, RFID, IPTV, 전자칠판, 로봇, 단말기, 지식서비스 핵심 SW(디자인, 엔지니어링, 컨설팅, 이러닝, 시험인증 등), 공개 SW, 임베디드 SW
녹색
금융
  - -
콘텐츠·
소프트
웨어
콘텐츠 콘텐츠산업은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콘텐츠 또는 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들의 복합체를 포함한다)의 제작ㆍ유통ㆍ이용 등과 관련한 산업 방송콘텐츠(드라마, 다큐멘터리 등), 애니메이션 콘텐츠(TV용/극장용 애니메이션 등), 게임(온라인/비디오 게임, 게임솔루션 등), 융합콘텐츠(가상세계, CG, 양방향콘텐츠 등)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SW)산업은 컴퓨터, 통신, 자동화 등의 장비에 설치되어 목적에 맞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품 혹은 기술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 공개SW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SW, SaaS, 리눅스 OS, 그린SW
  • 지능형 인터페이스 텔레매틱스, 디지털홈, 자동통역 등의 인터페이스
  • 임베디드SW 군사, 항공, 로봇, 자동차, 조선 등에 융합하는 SW
    • 사회안전시스템 개인용 안전시스템, 공공용 안전시스템
    • 차세대웹 시맨틱웹, 모바일 및 유비쿼터스웹, 지능형 검색
MICE·
융합
관광
MICE Meetings(회의),Incentives(보상
관광·행사),Convention(컨벤션),
Exhibitions(전시회) 유치·개최
관련산업
국제회의기획업, 국제회의기획서비스업, 국제회의장치사업, 국제회의공연이벤트업, 국제회의시설업, 여행업, 호텔업, 항공운송업, 전시시설사업, 전시주최사업, 전시장치사업, 전시용역사업
생태관광 자연자원의 보전이 곧 지역주민의 편익이될 수 있는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는 동 시에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면서, 지역의 자연과 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자연지역으로 떠나는 의미있는 여행
(세계생태관광협회)
환경정화 및 복원업(E3900),
관광숙박시설 운영업(I5511), 환경컨설팅
및 관련 엔지니어링 서비스업(M72122),
조경관리 및 유지 서비스업(N7430),
여행사업(N7521), 식물원·동물원 및
자연공원 운영업(R9023), 기타 도서관,
사적지 및 유사 여가관련 서비스업(R9029)

산업통상자원부 발표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 관련산업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 품목 안내
구 분 분야 품 목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가. 박막 태양전지, 소재·부품 및 생산장비
풍력 나. 저풍속·부유식 발전기, 고효율 블레이드 등 핵심부품, 시스템 설계 등
수소연료전지 다. 휴대용·가정용 수소연료전지, 건물용 SOFC연료전지, 수송용 PEMFC
연료전지 및 핵심부품
화석연료청정화 IGCC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라. 수증기발생장치, 황화합물분리장치, 가스화기 등 핵심부품 및 제어시스템
CTL(석탄액화)
및 GTL(가스액화)
고활성 FT합성·개질 촉매, 반응기, 공정통합·집적 장치 및 부품
CCS(CO2 포집·저장) CO2 포집·저장·분리장치 및 부품
효율성 향상 LED 고효율 LED 및 핵심부품
전력 IT 배전지능화, 전력선통신, 전력용 반도체, 스마트 미터링 및 시스템 등
에너지저장 KW급·MW급 에너지저장시스템, PHEV용전지, Supercapacitor, 분산전원용
대형시스템 등 핵심부품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이용·보급촉진법 등에서 정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관련산업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이용·보급촉진법 등에서 정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관련산업 품목 안내
구 분 관련설비
1. 태양에너지
  • 태양열설비태양의 열에너지를 변환시켜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설비
  • 태양광설비태양의 빛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거나 채광에 이용하는 설비
2. 바이오에너지 생물유기체(유기성폐기물을 포함한다)를 변환 시켜 바이오디젤·바이오에탄올·바이오가스·바이오액화유·합성가스·땔감·우드칩·펠렛·목탄 및 바이오매스 등의 에너지원을 생산 하는 설비
3. 풍력 바람의 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
4. 수력 물의 유동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
5. 연료전지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을 통하여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설비
6. 석탄을 액화·가스화한 에너지 및 중질잔사유를 가스화한 에너지 석탄·중질잔사유의 저급연료를 액화 또는 가스화시켜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설비
7. 해양에너지 해양의 조수·파도·해류·온도차 등을 변환시켜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설비
8.폐기물에너지 폐기물을 변환시켜 연료 및 에너지를 생산하는 설비
9.지열에너지 물, 지하수 및 지하의 열 등의 온도차를 변환시켜 에너지를 생산하는 설비
10. 수소에너지 물이나 그 밖에 연료를 변환시켜 수소를 생산 하거나 이용하는 설비

기후·환경산업 등 영위기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정책자금 융자승인받은 기업 포함)

녹색성장산업 분류별 품목 안내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전략품목)
01
신재생 에너지
01 태양광 01 태양전지 및 모듈제조용 소재
02 결정계 태양전지 및 모듈
03 박막형 태양전지 모듈
04 태양전지 및 모듈 생산 자동화 설비
05 태양전지용 BOS (Balance Of system) 주변 기기
02 연료전지 01 건물용PEMFC(핵심소재)
02 건물용PEMFC(핵심부품)
03 건물용PEMFC(시스템보조기기(BOP))
04 건물용PEMFC(시스템 양산제조기술)
05 건물용PEMFC(연료전지 생산용장비)
06 분산발전용 MCFC(핵심소재)
07 분산발전용 MCFC(핵심부품기술)
08 분산발전용 MCFC(시스템보조기기(BOP))
09 분산발전용 MCFC(시스템및시스템양산제조기술)
10 건물용SOFC (구성요소 및 스택)
11 건물용 SOFC (관련 BOP)
12 건물용 SOFC (시스템)
03 풍력 01 풍력발전 시스템 요소부품
02 풍력발전 운영/모니터링 시스템
03 해상풍력
04 풍력발전시스템
04 IGCC(석탄/중질잔유 복합발전) 01 가스화공정
02 합성가스정제 및 개질
03 합성가스 이용 플랜트
05 바이오·폐기물 에너지 01 바이오에탄올
02 바이오부탄올
03 바이오디젤
04 바이오가스
05 BTL (Biomass to Liquid)
06 바이오 오일 연료
07 식물성 기름 연료
06 해양에너지 01 조력발전
02 조류발전
03 파력발전
04 해수온도차 이용
07 태양열 01 태양열 활용기기 기술
02 태양열 소재 및 재료 기술
03 중저온 태양열활용시스템기술
04 고온 태양열활용시스템기술
08 지열 01 지열냉난방기술
02 심부지열 개발기술
03 심부지열 활용기술
02
탄소저감
01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01 연소후 CO2 포집플랜트
02 연소전 CO2 포집플랜트
03 연소중 CO2 포집플랜트
04 CO2 압축플랜트
05 CO2 저장플랜트
06 CO2 수송플랜트
07 CO2 이용 유용물질 생산플랜트
02 Non-CO2 온실가스 처리 01 환경기초시설발생 메탄이용/저감기술
02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03 불화가스 저감
04 N2O 저감
03 원자력 01 원자력노심 재료 및 핵연료
02 원전 계통 및 안전
03 원전제어계측기술
04 원전성능향상
05 원전환경
06 방사화학/악티나이드 화학
07 SMART
08 수출맞춤형 연구로
04 에너지저장 01 니켈-금속수소전지
02 리튬이온전지
03 리튬이온폴리머전지
04 나트륨-황(NaS)전지
05 레독스플로우(RedoxFlow) 전지
06 초고용량 커패시터
07 리튬이온 커패시터
08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기술
05 청정연료 01 석탄가스화
02 석탄가스 정제
03 석탄가스 액화
04 천연가스 리포밍
05 천연가스 유래 FT합성
06 육상용 GTL 통합공정
07 해상 GTL-FPSO 통합공정
08 GTL FPSO 핵심기자재
09 SNG 합성
10 DMEㆍ메탄올 합성
11 천연가스 유래 MeOH 합성
12 천연가스 유래 DME 합성
13 Upgrading 공정
06 히트펌프 01 전기구동 히트펌프(EHP)
02 열원구동 히트펌프(AHP)
03 가스구동 히트 펌프(GHP)
07 신광원 고효율 조명 01 실내용 LED 조명기기 및 부품
02 풀칼라 LED 감성 조명기기
03 실외용 LED 조명기기 및 부품
04 무전극 램프
05 고효율HID램프
06 CNT 조명
07 OLED 조명
08 지능형 조명시스템
08 소형열병합 01 스털링엔진 열병합발전기술
02 소형 가스터빈 열병합발전
03 가스엔진 열병합발전
09 에너지 다소비 기기 및
산업공정 고효율화
01 시멘트 제조공정 고효율화기술
02 제철 제조공정 고효율화기술
03 제지 제조공정 고효율화기술
04 공업로 고효율화기술
05 건조기 고효율화기술
06 보일러 고효율화기술
07 전동기 고효율화기술
08 조명기기 고효율화기술
09 냉난방기기 고효율화기술
10 가전기기 고효율화기술
10 핵융합 01 KSTAR
02 ITER
03 핵융합 실증로 노심 및 계통
04 핵융합 실증로 재료
05 핵융합 실증로 핵심장치
06 핵융합 실증플랜트 종합 설계
07 핵융합 실증플랜트 건설 및 시운전
08 핵융합 실증플랜트 인허가 및 안전
09 핵융합 실증플랜트 운전 보수유지
03
첨단수자원
01 자연친화적 하천관리 01 하천환경 조사/평가
02 홍수터 보전·복원
03 자연친화적 하도 조성
04 생물서식환경 조성
02 담수 플랜트 01 차세대 해수담수화 하이브리드 플랜트
02 신재생 담수플랜트
03 자연재해 대응시스템 01 홍수방어 시설
02 홍수 대응·관리 시스템
03 물부족 대응 시스템
04 기후변화 평가·예측·적응
05 가뭄ㆍ홍수예측 및 피해저감
04 통합수자원관리 01 IT/GIS 기반 수자원 정보시스템
02 유역 물 해석
03 수자원 평가 및 관리
05 수계 수질 평가/관리 01 인공위성 활용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02 지상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03 상 · 하수 관망 유량/오염도 모니터링 시스템
04 오염 하천 정화
05 유해물질 위해성 센싱시스템
06 해양수자원 01 해양용존 리튬
02 심층수
07 고효율 농촌수자원 01 농업용수고도이용
02 농업수리시설개선
03 농업용수관리시스템
04 청정농업용수 공급 및 관리
08 고도 수처리 01 하·폐수 처리 기술
02 하·폐수 재이용 기술
03 이산화탄소 저 발생 수처리 기술
04 빗물 이용 장치
05 지능형 분리막 및 장착 시스템
06 정수기술
09 누수방지 및 절수 01 상하수도관망 누수방지 기술
02 물 수요관리 및 절수기술
04
그린IT
01 LED 01 RGB LED 칩
02 LED 패키지
03 차세대 LED 제조장비
04 수송용 LED 광원 모듈
05 의료/바이오/환경 LED 광원모듈
06 디스플레이 LED 광원모듈
02 시스템 반도체 01 정보통신/가전 반도체
02 친환경 절전형 전력반도체
03 임베디드 메모리 반도체
04 바이오 반도체
03 차세대 디스플레이 01 대화면 AMOLED 디스플레이
02 OLED 조명
03 친환경 초절전 LCD
04 친환경 초절전 PDP
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전자종이 등)
04 그린 SW & 솔루션 01 IT기기 에너지 절감 솔루션
02 가상화 SW
03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 및 최적화기술
04 전동기제어솔루션
05 전자문서관리
06 전자문서 디지털 디바이스
05 그린 컴퓨팅 01 그린컴퓨팅 하드웨어기술
02 그린컴퓨팅 소프트웨어 기술
03 그린클라우드 컴퓨팅기술
04 그린컴퓨팅 인프라기술
06 그린 임베디드 SW 01 정보기기용 임베디드 SW 플랫폼
02 모바일용 임베디드 SW 플랫폼
03 초소형 운영체제 플랫폼
04 임베디드 SW 개발도구
05 CPS(Cyber Physical System) 컴퓨팅 플랫폼
07 차세대 센서 네트워크 01 개별물품 인식 RFID
02 광역 USN 통신시스템
03 지능형 RFID/USN 미들웨어
04 지능형 에너지 절감용 USN 시스템
05 사회기반시설 모니터링 USN 시스템
08 Digital 선박 01 선박내 정보인프라 시스템
02 선박용 이동/위성통신시스템
03 e-navigation 기반 운향정보 시스템
09 스마트그리드 01 스마트변전시스템
02 스마트송전시스템
03 AMI시스템
04 스마트배전시스템
05 DC/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10 차세대 이차전지 01 초소형 박막 이차전지
02 플렉서블 이차전지
03 고체 전해질 전지
04 리튬공기전지
11 디지털방송 01 디지털 방송 전송 기술
02 디지털 방송 측정 기술
03 디지털 방송 요소기술
04 디지털 방송 서비스 기술
05 차세대 실감방송
12 무선통신 01 이동통신
02 TRS 통신
03 LBS
04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05 해상/항공/위성 무선통신
13 방송통신네트워크 01 초고속 네트워크
02 홈 네트워크
03 인터넷데이터 센터(IDC)
14 전자파 01 전파응용
02 전파지원 활용 기술
03 전파기반
15 콘텐츠 제작 및 응용 녹색기술 01 영상ㆍ뉴미디어 콘텐츠
02 가상현실콘텐츠
03 공연ㆍ전시 콘텐츠
05
그린차량ㆍ선박
01 그린카 01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
02 클린디젤 자동차
02 저공해 고효율 차량 01 온실가스/배출가스 저감형 자동차
02 신재생/저탄소연료/ 대체연료 자동차
03 그린농기계 01 농작업기계
02 농용 트랙터
04 WISE Ship 01 미래형 친환경 선박
02 해양플랜트
03 친환경 레저 보트
05 첨단 철도 01 첨단철도용 에너지 저감 및 공급기술
02 첨단철도 친환경기술
03 첨단차량/ 부품 설계기술
04 차상/지상 신호시스템 기술
05 궤도토목 기술
06 그린자전거 01 고부가가치형 경량자전거
07 고효율 해상물류 01 물류시스템 계획 및 설계
02 물류시설 및 장비
03 물류운영 및 관리
08 해사안전 01 해상교통안전
02 해양인적안전
03 해양안전관리
06
첨단그린 주택·도시
01 U-City 01 U-City 통합운영센터
02 U-City 운영관리
03 U-City 스마트그리드
04 Eco-Road 조성
05 도시 물순환 통합관리
06 U-Eco 공간구성 컴포넌트
07 U-Eco 공간구축
02 ITS (지능형교통시스템) 01 U-교통 서비스 기반
02 교통연계 및 환승시스템
03 Smart Highway
03 GIS(공간정보) 01 실시간 능동형 국토 공간시스템
02 지능형 도시시설물 관리시스템
03 차세대 공간정보 융합시스템
04 저에너지 친환경주택 01 고효율 외피시스템
02 저탄소 친환경 건축자재
03 고효율 설비시스템
04 농촌환경 농가주택
07
신소재
01 초경량 마그네슘 소재 01 고품위 마그네슘 원소재
02 고기능 마그네슘 주조재
03 고성형 마그네슘 판재
04 고강도 마그네슘 형재
05 고효율 마그네슘 융합소재
02 Ionic Liquid 소재 01 전해질 소재
02 분리정제 소재
03 그린촉매공정 소재
04 마찰저감 소재
03 나노탄소융합소재 01 탄소나노튜브(CNT)
02 흑연 나노섬유(GNF)/탄소 나노섬유(CNF)
03 탄소섬유
04 복합소재
04 기능성 나노필름 01 광학용 나노필름
02 열응용 나노필름 및 소재
03 에너지변환 나노필름(농업용필름 포함)
05 농산자원유래 천연소재 01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02 기능성 화장품 소재
03 기능성 바이오 신소재
04 천연식품첨가물
05 항생제 대체 천연 사료첨가제
06 친환경 농자재 01 작물보호 관리 자재
02 토양개량/작물생육 자재
07 희토류자성소재 01 Nd계 희토류 소결자석소재
02 Nd계 희토류 본드자석소재
08 고특성 알루미늄 소재 01 친환경 알루미늄 원소재
02 고기능 알루미늄 주조재
03 고성형 알루미늄 판재
04 고강도 알루미늄 형재
05 고품위 알루미늄 재생 소재
09 그린섬유 소재 01 자원활용 친환경 녹색섬유소재
02 에너지저감형 녹색섬유소재
10 LED용 사파이어 단결정 소재   01 대구경 사파이어 단결정
11 압전하베스팅 소재 01 나노기반 압전하베스팅
12 해양생명공학 01 해양유래신소재
02 해양생물공정
13 바이오의약 01 단백질의약품
02 치료용항체
03 백신
04 유전자의약품
05 재생의약품
06 천연물의약품
08
청정생산
01 국제환경규제대응 01 유해물질 대체
02 무오염생산 01 유니 소재
02 그린프린팅 제품
03 그린 프로세스(E2) 제품 E2 : Ecological and Economical
04 무배출 그린생산
05 청정융합
03 자원순환 01 자원순환(HM2, Hidden Materials Mining)
02 재제조(Remanufacturing)
03 에너지ㆍ자원순환네트워크(생태산업단지)
04 해양광물자원 01 바다모래 채취기술
09
친환경 농식품
01 생태환경변화대응 01 식량자원 LCI(Life Cycle Inventory) 구축
02 농업환경
03 어업환경
04 산림환경
05 재해·질병 방제
02 생물자원 01 유전자원
02 신품종
03 저투입생산 01 대체에너지 이용
02 LED 이용
03 친환경생산
04 첨단자동화 시스템 01 작업용로봇
02 동식물공장시스템
03 어업(양식)자동화
05 식품생산 01 유기식품
02 저에너지/저탄소 식품
03 에너지절약형 가공기술
06 안전유통 01 검역시스템
02 품질관리시스템
03 냉각시스템
04 저장·포장재
05 에코주방시스템
10
환경보호 및 보전
01 기후변화예측 및 모델링 01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02 지구시스템 모델링
03 탄소수지 정량화
02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01 기후변화영향 감시
02 기후변화영향ㆍ취약성 평가
03 기후변화 적응
04 기후변화 모니터링
03 폐기물 및 폐자원 01 폐기물/자원 회수/처리
02 폐기물/자원 재활용
03 폐기물 저감
04 유기성 부산물 에너지/자원화 01 폐목재 바이오매스
02 하수슬러지/음식쓰레기
03 가축분뇨
04 농수산 부산물
05 친환경제품 01 친환경 원부자재
02 환경친화성 첨가제
03 친환경제품 설계 및 생산/처리 기술
06 생태계 보전 및 복원 01 생태계 모니터링 및 정보관리
02 인간 활동에 대한 생태영향 평가
03 훼손된 자연생태계 복원관리
04 토양/지하수 오염 정화/복원
07 유해성 물질 모니터링 및 환경 정화 01 에코 실내 환기설비
02 건물 공조용 공기정화설비
03 기능성 건축자재
04 유해성물질 측정 센서
05 유해성물질 측정기
06 실내환경 진단/개선
07 악취/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설비
08 유해 대기오염물질 제어/관리 기술
08 기상관측장비/ 예보 01 상층관측
02 지상관측
03 원격탐사
04 예보시스템

부품·소재전문기업등의 육성에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른 부품·소재업종

부품·소재전문기업등의 육성에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른 부품·소재업종 품목 안내
업 종 품 목 산업분류 code
섬유제품제조업(13)
(의복제외)
방적 및 가공사(천연원료를 제외하고, 기타 방적사는 무기질 섬유사 및
텍스처 사등 가공사에 한한다)
1310
직물직조업
(특수직물 및 기타직물은 무기질 섬유직물에 한한다)
1321
섬유제품 염색, 정리 및 마무리 가공업
(호부, 기타 섬유염색 및 정리 가공품을 제외)
1340
부직포 및 펠트 13992
특수사및 코드직물 13993
그외 기타 분류안된섬유제품 13999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17) 기타종이 및 판지 17129
석유화학계 기초 화학물질 (유도체에 한한다)
20111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20) : 의약품제외 기타 기초 유기화학물질(유도체 및 화합물에 한한다) 20119
기타 기초 무기화학물질(유도체 및 화합물에 한한다) 20129
무기안료, 염료, 유연제 및 기타 착색제 2013
합성고무 20301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물질 20302
농약 20412
일반용 도료및 관련제품 20421
인쇄잉크 20423
계면활성제 20431
사진용 화학제품및 감광재료 20491
공업용 방향유 및 관련제품 20499
접착제 및 젤라틴 20493
그외 기타분류안된 화학제품 20499
화학섬유 205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21)
기초의약물질및 생물학적 제재 2110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23) 판유리 (두께 1.5㎜ 이하에 한한다) 23110
유리섬유및 광학용 유리 23121
판유리 가공품 23122
기타 산업용유리제품 23129
산업용도자기(파인 세라믹을 포함) 23213
구조용 정형내화제품(전주내화물에 한한다) 23221
석회 및 플라스터(형상 및 물성제어된 제품에 한한다) 23312
연마재 23992
비금속광물 분쇄물 생산업 23993
석면, 암면 및 유사제품 23994
그외 기타 분류안된 비금속 광물제품 23999
1차 금속 제조업(24) 합금철 24113
열간압연 및 압출제품(일반철근, 보통강 형강을 제외) 24121
냉간압연 및 압출제품(보통강 냉연강판을 제외) 24122
철강선(보통강철선, 아연도철선, 철조망, 철망을 제외) 24123
주철관 24131
강관(전기용접 보통강관을 제외) 24132
도금, 착색 및 기타 표면처리강재(아연도금강판을 제외) 24191
그외 기타 1차 철강 24199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2421
비철금속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2422
철강 주조업(희주철을 제외) 2431
비철금속 주조업 2432
금속가공제품 제조업(25)
(기계 및 가구 제외)
중앙난방 보일러 부품 및 방열기 25121
설치용 금속탱크 및 저장용기 25122
핵반응기 및 증기발생기 25130
금속단조, 압형 및 분말야금제품(가정용 압형제품 및 병마개를 제외) 2591
금속 열처리, 도금 및 기타 금속가공업(금속인쇄업을 제외) 2592
톱 및 호환성공구 25934
금속파스너 및 나사제품 25941
금속스프링 25942
그외 기타 분류안된 금속가공제품 2599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9)
내연기관 및 터빈(항공기용 및 차량용 제외) 2911
유압기기
액체펌프
기체펌프 및 압축기
29120
29131
29132
탭, 밸브 및 유사장치
29133
볼베어링, 롤러 베어링,
기어 및 동력전달장치
29141
29142
산업용 오븐, 노 및 노용버너
음·식료품 및 담배 가공기계
29150
29250
산업용 트럭, 승강기 및 물품취급장비 2916
산업용 냉장 및 냉동장비 29171
공기조화장치 (자동차용은 완제품을 포함) 29172
산업용 송풍기 및 배기장치 29173
기체여과기 29174
액체여과기 29175
증류기, 열교환기 및 가스발생기 29176
기타 일반목적용 기계 2919
전자응용 공작기계,
금속 절삭기계,
금속 성형기계,
그외 기타 전기장비,
그외 기타 일반목적용 기계,
동력식 수지공구,
기타 가공공작기계
29221
29222
29223
28909
29199
29195
29229
농업 및 임업용 기계
금속 주조 및 기타 야금용 기계
토목공사 및 유사용 기계장비
광물처리 및 취급장비
음·식료품 및 담배 가공기계
기타 섬유, 의복 및 가죽 가공 기계
산업용 섬유세척, 염색, 정리 및 가공 기계
반도체 제조용 기계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
펄프 및 종이 가공용 기계
인쇄 및 제책용 기계
고무, 화학섬유 및 플라스틱 성형기
주형 및 금형
산업용 로봇
그외 기타 전기장비
그외 기타 특수목적용 기계(주형 및 금형은 완제품을 포함)
29210
29230
29241
29242
29250
29269
29261
29271
29272
29291
29292
29293
29294
29280
28909
29299
무기 및 총포탄,
항공기,우주선 및 보조장치
전투용 차량
25200
31310
31910
가정용 전기기기 2851
가정용 비전기식 조리 및 난방기구 28520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및 통신장비 제조업(26) 기억장치 26321
전자접속카드
컴퓨터 모니터
기타 주변기기
(컴퓨터 본체와 분리되는 CRT모니터, 프린터의 완제품을 제외)
26296
26322
26323
26329
사무용 기계 및 장비 29180
전자부품 262
통신 및 방송장비 264
영상 및 음향기기 265
전기장비 제조업(28) 전동기 및 발전기
변압기
방전램프용 안정기
기타 발전기 및 전기변환장치(발전기세트 제외)
28111
28112
28113
28119
전기회로 개폐, 보호 및 접속 장치
배전반 및 전기자동제어반
28121
28122
기타 절연선 및 케이블 28302
광섬유케이블 28301
일차전지(리튬전지에 한한다) 28201
축전지 28202
전구 및 램프 28410
운송장비용 조명장치
일반용 전기 조명장치
전시 및 광고용 조명장치
기타 조명장치
28421
28422
28423
28429
자동차용 전기장치
운송장비용 조명장치
자동차용 전기장치
28909
30392
28421
유선통신장비
전기경보 및 신호장치
26410
28901
그외 기타 고무제품
그외 기타 플라스틱 제품
산업용 도자기
플라스틱제품
그외 기타 분류안된 금속가공제품
그외 기타 전기장비
22199
22299
23213
25999
28909
전기용 탄소제품 및 절연제품 28902
교통신호장치 28903
그외 기타 전기장비 28909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제조업(27)
의료용기기 (의료용 가구를 제외) 271
측정, 시험, 항해 및 기타 정밀기기(광학기기 제외) 272
광학렌즈, 광학요소 및 광섬유 케이블 27321
28301
사진기, 영사기 및 관련장비 부품 27322
기타 광학기기 부품 27329
시계 부품 2740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30) 자동차용 엔진 30110
자동차 엔진용 부품
자동차 차체용 부품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그외 기타 자동차 부품
30310
30320
30391
30399
기타 운송장비제조업
(31)
선박 구성부분품 31114
철도차량 부품 및 관련장치물 31202
항공기, 우주선 및 보조장치 31310
항공기용 엔진 및 부품 3132
모터사이클 31920
자전거 및 환자용 차량 31991
가구제조업(32) 운송장비용 의자 32011

혁신형 지식서비스산업 및 선도콘텐츠산업

혁신형 지식서비스 산업
혁신형 지식서비스산업 품목 안내
해당업종 한국표준산업분류
환경 정화 및 복원업 39
전자상거래업 47911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582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제작업 5911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제작 관련 서비스업 5912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59201
전기통신업 612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62
정보서비스업 63

연구개발업

70
광고업 713
시장조사 및 여론조사업 714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 72
전문디자인업 732
사업 및 무형 재산권 중개업 73903
물품감정, 계량 및 견본 추출업 73904
그외 기타 분류안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73909
보안시스템 서비스업 75320
전시 및 행사 대행업 75992
신용조사 및 추심 대행업(신용정보를 수집·제공하는 사업만 해당한다) 75993
선도콘텐츠산업
선도콘텐츠산업 품목 안내
해당업종 한국표준산업분류
영상게임기 제조업 33402
만화출판업 58112
기타서적 출판업(소설,수필,동화등 문학작품에 한함)*
58119
온라인.모바일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58211
기타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58219
일반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59111
애니메이션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59112
광고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59113
방송프로그램 제작업 59114
음악 및 기타 오디오출판업 59201
라디오 방송업 60100
지상파 방송업 60210
유선 방송업 60222
위성 및 기타 방송업 60229
시각디자인업 73203
연극단체 90121
무용 및 음악단체 90122
기타 공연단체 90123
공연기획업 90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