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Q
- 1 문화산업완성보증은 반드시 유통계약 체결 및 자기자금 조달 요건을 충족해야하나요?
A.유통계약 체결은 문화산업완성보증 신청요건에 해당하므로 반드시 충족되어야 합니다. 다만 문화콘텐츠의 판매계약 체결이 확실시되는 경우에는 유통계약이 없더라도 완성보증을 신청하여 보증심사를 먼저 받고, 유통계약이 체결된 이후에 보증실행이 가능합니다. 유통계약 체결 이전에는 사전 기획자금 등을 위한 고부가서비스 프로젝트보증 신청이 가능합니다.
A. 문화산업완성보증 신청을 위해서는 제작비의 50% 이상 자기자금 조달이 확정되어야 하나, 보증신청금액, 콘텐츠 평가등급, 대기업이나 창투사 등의 투자참여 여부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합니다.
- 2 문화산업완성보증과 고부가서비스 프로젝트보증은 기술보증기금 전국 영업점 어디에서나 취급이 가능하나요?
A.문화산업완성보증과 방송, 영화 등 10개 장르에 대한 고부가서비스 프로젝트보증은 “문화콘텐츠금융센터” 및 “콘텐츠벤처투자금융센터” 가 전담하여 취급하고 있으며, 그 외에는 전국 영업점에서 취급합니다.
- 3 어떤 경우에 보증지원이 제한되나요?
A.보증기관이 보증채무를 이행한 후 채권을 회수하지 못한 기업(대표이사 포함)이나, 휴업 중인 기업, 대출금을 빈번하게 연체하는 기업, 세금 및 급여(4대보험 포함)를 체납 중인 기업 등에 대해서는 보증지원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4영업손실 등 재무상황 등이 좋지 않아도 보증지원이 가능한가요?
A.문화산업완성보증은 프로젝트단위 평가를 통해 기업의 재무상황 보다는 콘텐츠의 완성가능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여 지원여부를 결정합니다.
- 5주요 장르별 중점 평가항목은 어떤 것이 있나요?
A.아래의 주요 장르에 대한 평가항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방송
- 제작사 및 제작인력 역량, 시나리오 대중성, 방영 확정성, 선판매현황 등
-
공연
- 제작사 및 제작인력 역량, 콘텐츠 우수성, 제작진척도, 마케팅 역량 등
-
게임
- 제작사 및 개발인력 역량, 콘텐츠 우수성, 제작진척도, 수익성 등
-
애니메이션
- 제작사 및 제작인력 역량, 캐릭터 우수성, 제작관리능력, 수익성 등
-
영화
- 제작사 및 제작인력 역량, 시나리오 경쟁력, 제작관리능력, 배급계약 등
-
캐릭터
- 제작사 및 제작인력 역량, 캐릭터 우수성, 시장적합성, 라이센싱 계약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