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S 소개
NCS란
기술보증기금에서는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하여 NCS기반 채용을 실시합니다.
NCS란?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 한 것으로, 산업현장의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지식,기술,태도)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한 것을 의미합니다.
※ 자세한 사항은 NCS홈페이지 (www.ncs.go.kr) 참조
기술보증기금 NCS 기반 채용 제도 도입 배경
- 1우리 기금에 "적합한 인재(Right Person)" 채용
- 기금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이공계, 상경계, 법학적 직무능력을 갖춘 융합형인재 채용
융합형 인재 Right Person
- 법학적 직무 능력
- 구상채권 회수 - 채무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하여 채권회수를 위한 법학적 직무능력
- 이공계적 직무능력
- 기술성 평가 - 기업이 보유한 기술을 전문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이공계적 직무능력
- 상경계적 직무능력
- 사업성 평가 -기업의 재무구조 및 기업신용분석을 위한 상경계적 직무능력
- 2구직자의 과도한 스펙(Over-Spec) 쌓기를 방지하고, 직무수행에 꼭 필요한 능력(On-Spec) 쌓기만을 권장하여 사회적 효율성 제고
- 기금적합형 인재등용을 통해 직무/조직 몰입도를 제고하고, 개인 및 조직역량, 나아가 공공기관으로서 국가경쟁력 강화에 이바지
-
기존 채용방식
- 스펙 중시(학교, 어학성적)
- Generalist형 인재 선발
- 직무보다는 회사 중심의 채용
-
문제점 대두
- 1직무별 전공평가 (전공별 배점기준 마련)
- 일에 대한 보람과 가치 결여
- 직무만족도 및 동기 저하
- 직장생활의 질 저하
- 2직무재교육 비용 발생 및 직무숙달에 장시간 소요
- 불필요한 추가비용 발생
- 조직의 생산성/경쟁력 저하
- 1직무별 전공평가 (전공별 배점기준 마련)
기존 채용제도와의 차이점
-
기존 채용방식(~2014년)
- 1채용기관 중심의 채용공고
- 학력수준, 전문자격소지, 사회형평적채용 등 기관 편의적 모집부문 구분
- 입사 후 수행할 직무에 대한 자료제공 무
- 2직무와 무관한 사항 기재
- 가족사항, 출신학교, 성별 등 직무와 무관한 사항에 대해서도 입사지원서에 기재
- 출신학교, 학점, 외국어성적, 직무무관 자격증 등을 중시하여 Over-Spec 쌓기 양산
- 3기본소양 검증 위주의 인적성 검사
- 지원자의 기본 소양 검증 등을 위한 간단한 인·적성검사 실시로 직무와 무관한 필기전형
- 4인성위주의 Generalist 선발 중심
- 입사지원서에 기재된 가족사항, 지원동기, 출신학교, 전공 등에 국한된 일반적인 사항 중심의 인성위주의 면접 실시
- 1채용기관 중심의 채용공고
-
NCS기반 채용제도(2015년 이후)
- 1지원자 중심의 채용공고
- 직무설명자료 상세 제공
- 지원자가 유리한 모집부문 선택 가능
- 2직무와 무관한 사항 삭제
- 출신학교, 성별 등 차별적 요소 배제
- 직무관련 교육, 자격, 경력(경험)사항 위주의 One-spec 채용
- 3NCS기반 필기 문항 출제
- 각 직무별로 도출된 7개의 직업 기초 능력에 대해 직업기초능력평가 실시
-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 4직무중심의 Specialist 선발 중심
- 직무적합성 및 직무수행능력 평가를 위한 직무수행능력면접(PT면접)실시
- 1지원자 중심의 채용공고